우리가 정말 모르는 것들에 관하여
* 장 뤽 낭시, 이영선 옮김, 『신, 정의, 사랑, 아름다움』, 갈무리, 2012 이 책을 처음 읽었던 것은 2012년 말 무렵이었다. 낭시는 이미 라쿠-라바르트와 공동으로 출간한 책의 번역본으로 한국에 소개되어 있었고, 문학계에서 한창 ‘시와 정치 논쟁’이라 불린 뜨거운 논란 속에서 관심의 정점에 있던 자크 랑시에르와 함께 가장 영향력 있는 프랑스 철학자 중 하나로 알려져 있었다. 이런 저런 이유들로 나는 몹시 지쳐 있었는데(‘지쳐 있다’는 게 사실 우리 시대 사람들의 정서적인 디폴트 값이기는 하지만) 특히나 패퇴하는 것처럼 보이는 사회 정치적인 환경은 계속되는 장마처럼 정신을 피폐하게 만들었다. 나는 나의 희미한 (그 어떤 종류의 신에라도) 신앙을 잃었고, 사람들에 대한 환멸에 사로잡혔으며, 그에 ..
“I am not a man, I am not a man”
* 에밀리 정민 윤 지음, 한유주 옮김, 『우리 종족의 특별한 잔인함』, 열림원, 2020. 한 남자가 있었다. 일본 군인. 낡은 미신을 믿지 않았던 자. 전투에 나가기 전 무사를 기원하는 섹스를 믿지 않았던 자. 그는 괴짜였다. ‘위안부’의 음모나 혹은, 어떤 부위를 부적으로 지니지 않았던 자. 그의 동료들이 말했다, 남자가 되어야 한다고. 공식은 이러하다, 괴짜는 남자가 아니다. 전시의 논리에는 근거가 없다. 근거가 없다. 한 남자가 있었다. 그의 동료들이 말했다, 급습해, 약탈하라고. 그를 위안소에 밀어 넣었다. 벽에 난 구멍을 들여다보는 그들의 눈알들. 그가 나오는 걸 보았다. 되었다. 여기서 공식은 무엇인가. 공식은 없다. 한 남자가 있었다. 울면서 말했다. 나는 남자도 아니야, 나는 남자도 아..
당신 안에서 누군가 키득거릴 때
왕웨이롄, 김택규 옮김,『책물고기』, 글항아리, 2018. 중국 동시대 작가의 소설을 읽기 시작했을 때, 나에게는 어떤 편견이 있었던 것 같다. 나는 사실 동시대 작가의 글을 잘 읽지 않는다. 정확히 말하면, 우리 세대 작가들의 책을 부러 읽는 때가 별로 없다. 내가 그런 글을 읽을 때는 어쩌다 펼친 문학잡지를 우연히 계속 읽게 된 경우거나, 친구의 책이 나왔거나, 누군가 보내온 책을 계속 읽게 되었을 때나, 일 때문이다. 나의 작은 서재에는 아직도 내가 ‘정말로 읽고 싶어서’ 샀지만 차일피일 미루며 읽지 않아온 고전들이 가득 나를 둘러싸고 있는 것이다. 솔직히 말하면 나는 이 책을 일 때문에 읽었다. 왕웨이롄이라는 작가는 올가을에 열리기로 되어 있는 국제작가축제의 초대 작가 중 한 명인데, 어쩌다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