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글/대중음악과 문화

2. 아직 미칠 수 있는 정신을 위하여―페스티벌, 기술, 광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 디오니소스와 그 신도들

한국은 정말 락 페스티벌과는 인연이 없는 것일까? 1999년, 내로라하는 뮤지션들이 내한한다는 트라이포트 락 페스티벌에 3박 4일의 일정을 투여하기로 결정했던 좀 ‘놀 줄 아는’ 음악 애호가들의 모처럼의 기대가 빗물에 휩쓸려갔던 데다, 이름을 살짝 바꾼 올해의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마저 폭우 속에서 치러졌다는 가공할 노릇을 대체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이 좁은 반도는 비바람의 여신에게 저주를 받았는가, 아니면 관능적인 물속에서 지랄할 수 있도록 디오니소스의 은총을 받았는가?

사실상 ’99년, 우리는 후지 락 페스티벌을 위해 몸소 동북아에 오신 비싼 밴드들이 ‘몸 좀 푸는 셈’ 치고 트라이포트를 방문해주신 것에 대해서도 감지덕지하는 마음가짐으로 진흙 펄의 다이브를 감행했었더랬다. 거기에 비하면 7년 만에 열린 펜타포트는 역시 빗속에서 치러지기는 했지만 그때와는 상황이 좀 다르다. 우선 ‘락 페스티벌’이라는 타이틀을 달고서도 지나치게 장르의 유행을 반영한다는 약간 괘씸한 라인업(블랙아이드피스라니!), 그러나 텐트가 물에 떠다니던 홍수 사태로 1박 후 철수해야 했던 트라이포트와는 달리 펜타포트에서의 폭우는 (주최 측의 단단한 대비로) 그럭저럭 이재민 없는 ‘광란의 축제’로 화했다는 후문. (하지만 안상수 시장의 관람 기사는 역시 좀 깬다.)

따지고 보면 1969년 미국 우드스탁 페스티벌이 ‘사랑의 여름’이라는 타이틀을 걸고 마약, 히피차림, 섹스가 난무하는 ‘자유’의 이미지를 미국 젊은이들의 가슴에 아로새긴 후, 기껏해야 나팔바지와 통기타, 생맥주가 ‘자유’인 한국 젊은이들이 이 ‘자유’의 협소함에 대해 막연한 열등감을 가지고 있었던 것도 사실일 게다. 걸핏하면 ‘딴따라’들의 대마초 사건으로 ‘요즘 젊은이들의 해이한 정신’을 문제삼는 게 버릇이 된 유신-군사정권 하의 제3세계 개발도상국에서 그 ‘자유의 이미지’의 크기가 문화적인 나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즉각 이해된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아무튼 요즘 내한공연을 해본 해외 뮤지션들은 “요즘은 세계 어딜 가도 한국 관중처럼 열광적인 팬들이 없다”고 좋아한다는데 결코 거짓말은 아니다. 1998년 첫 내한공연을 열었던 메탈리카는 공연 첫날, 어두운 관중석에서 별처럼 수없이 반짝이는 라이터 불빛들을 보고, 그 창의적인 아름다움에 놀라 좀처럼 하지 않는 즉흥곡 연주를 감행했다. 그것이 야간정치집회에서 다져진 경험에서 나온 것이라고는 꿈에도 생각할 수 없었겠지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