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나는 세대론 같은 것을 쓰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사람인지도 모른다. 나는 내 동갑내기들에 비해 시대에 좀 뒤떨어진 사람이다. 그렇다고 선배들과 어떤 경험을 공통적으로 실질적으로 정말로 구체적으로 총체적으로 공유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단지, 나에게는 지나치게 변화가 빠른 한국 사회에서 앞선 세대가 빠른 속도로 전력을 다해 수행한 세계 해석을 조금 이른 나이에 전력을 다해 (왜?) 받아들인 바람에 갑작스러운 사회 변화에 정신을 못 차렸던 문화적인 늦깎이의 일종 자괴감 같은 것이 있었던 듯하다. (그리고 왠지 모르지만 이 ‘문화적’이라는 말에 아직도 심한 양가감정을 느낀다.)이를테면 만일 내게 나의 문학적인 자양분이라고나 할 만한 것을 이야기할 자격이 있다면, 그 시작은 주로 10대 시절에 탐독한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