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기석

(2)
괜찮다. 완전히 불순한 이유로 들추어본 몇 개의 계간지에서 보석 같은 시들을 보았고, 그것으로 괜찮다. 그 불순한 이유는 충족시키지 못했지만, 괜찮은 시 평론가가 별로 많지 않은 것은 별로 불행하지 않은 일이다. 괜찮은 시인들이 있다면, 그것으로 희망이 있다. 괜찮은 독자들이 별로 많지 않은 것은 훨씬 불행한 일이지만, 그건 괜찮은 시 평론가가 별로 많지 않은 이유와 직결되고 있는 것이고, 괜찮은 시인들이 있다면 괜찮은 독자는 언제든 태어날 수 있다. 그러면 괜찮은 평론가는 시간 문제다. 그들은 돌 속의 형상처럼 잠재되어 있다. 다만 가장 불행한 것은 정신성의 힘을 믿지 않는 제도가 참 오래도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고, 이들이 돌 속에서 잠자고 있는 형상 따위는 상상할 줄 모른다는 것이다. 하루를 꼬박 산..
논리와 착란 서평) 함기석, 오렌지 기하학, 문학동네, 2012 논리와 착란 과학적 공리의 성립은 종종 개념의 비약에 따라 출현한다. 줄리언 제인스에 따르면, 아인슈타인이 완성한 현대 물리학 공리들의 단초들은 대개 그가 아침에 면도하는 동안 떠올린 것인데, 그런 일이 왕왕 있었기 때문에 그는 갑작스런 아이디어의 출현에 놀라 베이지 않도록 면도날을 조심해서 다루지 않으면 안 되었다고 한다. 새뮤얼 구테풀란과 마틴 탬니는 그들이 공동 저술한 논리학 서론에 논리규칙을 건너뛰는 개념의 비약에 관해 다음과 같은 예를 들고 있다; “어느 날 아침 E(아인슈타인) 교수는 우유(milk)를 정사각형(squere)의 시리얼(cereal) 그릇에 따르다가 문득 E=mc²이 떠올랐다. 실제 사유의 ‘흐름’은 아마 ‘우유(milk)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