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글/tender

(37)
모순에 대한 중단 없는 사랑을 위하여 나는 오랫동안 하이데거와 첼란을 둘러싼 몇 개의 장면들을 하나의 유비로 생각하고 있었다. 처음 내가 이 일화들에 흥미를 느낀 것은 제도적 절차를 통해 ‘시인’이나 ‘평론가’가 되기 전이었다. 그때 나는 하이데거와 첼란을, 시를 사랑하는 사람과 시를 쓰는 사람, 아름다움에 빠진 사람과 아름다운 사람, 이를테면 나보코프의 험버트 험버트와 롤리타, 혹은 토마스 만의 구스타프 아셴바흐와 폴란드 소년의 관계와 같이 생각했다. 롤리타는, 폴란드 소년은, 험버트와 아셴바흐를 얼마나 절망에 빠뜨렸나! 하이데거는 횔덜린과 릴케와 첼란을 읽을 때마다 자신이 시인이 아니라는 사실, 단지 시를 사랑할 뿐이라는 확인에 얼마나 비참했나! 얼마나 시인이 되고 싶었나! 시가 ‘명명하는 능력’에서 나오는 것이라면, 철학사 전체를 자신..
어떤 무한 변주 중인 후렴구 *그때, 우리가 앉아있었던 그 광장의 이름을 기억할 수 없다. 아니, 우리는 처음부터 그 광장의 이름을 알았던 적이 없다. 그러나 그날, 우리가 파리에서 열차를 타고 아비뇽에 도착해서 차를 빌리고 처음 야외 식탁에 앉아 파란 하늘 아래 노란 햇빛 속에서 양고기 꾸스꾸스를 먹었던 날, 우리는 우리가 떠나온 곳에서 여객선이 침몰하고, 수학여행을 떠났던 소년 소녀들이 물속으로 영원히 여행을 떠났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아비뇽에서, 파란 하늘 아래 노란 햇빛 속에서, 끊어진 아비뇽 다리 위에서, 끊어진 아비뇽 다리의 절단면 앞에서 하염없이 강물을, 하늘보다 더 파란 강물을 바라보고 있던 비둘기며, 떠내려가다가 다리 기둥에 걸려 반쯤 잠겨 있던 커다란 나뭇가지, 하늘보다 더 파란 강물 위에 검푸른 그림자를 드..
김춘수 가상 인터뷰) 업보 경찰 행정관 나사루의 비망록 *이 글은 도스토예프스키의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에서 이반이 알료샤에게 이야기해준 자신의 서사시 「대심문관」을 상호텍스트로 삼고 있는 김춘수의 시 「대심문관」을 다시 상호텍스트로 삼고 있으며, 플라톤의 영혼불멸에 관한 대화, 『국가』 10권의 반향이 조금 스며 있다. 전기적 서술들은 모두 김춘수의 자전소설 『꽃과 여우』를 비롯한 그의 저술들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돌아가신 김춘수 선생이 아라뱃길 산책로를 걷고 있다는 제보를 받은 것은 비가 제법 내리다 갠 4월 말의 어느 평일 낮이었다. 업보 경찰의 행정관으로서 내가 하는 일은 대개 많은 사람들의 습관이 기록된 문서들을 분류하고 정리하여 그들의 운명이 어떻게 결정되었는지 간단한 조서를 작성하는 일이다. 하지만 래리 플린트의 분신이 미국 대통령 후보..
수신이 완료되지 않았습니다 지난 몇 년 동안 끔찍한 뉴스들이 현저히 많이 쏟아지고 있다는 것은 단지 저의 착각일 수도 있습니다. 그 전에도 대형 참사들은 있었고, 패륜적인 범죄는 저질러지고 있었으며, 전쟁과 테러가 어디에선가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저의 세대 사람들에게, 잔혹함의 여러 유형들이 이토록 종류와 규모에 있어 많고도 다양하게 짧은 기간 동안 가까운 곳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알려진 적이 없었다는 느낌은 쉽사리 떨칠 수가 없습니다. 어떤 이들은 이것이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 때문에 가능해진 체감의 차이 때문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우리는 공중파와 종이 신문만 있었던 시절보다 비교할 수 없이 많은 미디어의 통로들을 시간의 제약 없이 접하고 있습니다. 알려질 수 없었던 참상들과 그 세부를 이제는 우연히 ..
천년왕국에서 요한계시록을 읽을 때 그러니까, 1991년 늦가을, 아직 종로에 종로서적이 있었을 때였다. 나는 막 고교 2학년 진학을 앞두고 본격적인 문청 행세를 시작하고 있었고, 그에 걸맞은 허세를 완성해줄 책 한 권을 사게 되었다. 한 영문학자가 엮은 『포스트모더니즘과 한국문학: 후기산업사회의 문학적 대응』이라는 이 한 권의 책은, 정말이지 알 듯 모를 듯한 소리들로 가득 차 있었지만, 등하교 시간의 버스 속에서 여드름투성이 안경잡이 고등학생의 자긍심을 키워주기에는 그만인 제목을 달고 있었다. 돌이켜보면, 저 옛날 고교 비평준화 시절, 고등학생들 사이에서 1급 문예지였다는 지라든지, 선배들이 교류했던 내로라하는 공립 고등학교 문예반들에서 오랜 세월 보내온 교지들, 70-80년대 문학잡지와 시, 소설 등으로 가득 차 있었던 문예반실 책장..
미감과 포만감 다른 많은 수도권의 아파트 단지처럼 우리 동네에도 일주일에 한 번씩은 장이 선다. 아파트 단지에 서는 장은 먹거리를 사러 갈 곳이 없어서 서는 것은 아니다. 단지 입구며 후문 쪽에 벌써 서너 개의 슈퍼마켓과 가게가 있고 어지간한 채소며 생선, 정육 등을 10분 거리 내에서 살 수 있으니, 아파트에 서는 장은 그보다는 무언가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만족시켜주는 일종의 문화적인 것에 가까운 듯하다. 게다가 공산품이나 냉동식품이라면 몰라도 신선식품을 주말에 대형 할인마트에서 대량 구매하는 것은 별로 현명하지 못한 일이기 때문에 수고를 덜어주는 효과도 있다. 오늘이 마침 장날이라 저녁에는 오징어무국이나 끓여볼까 하고 홍고추를 사러 나갔다. 전날 가게에서 다른 재료는 사놓았지만, 이상하게도 단골 가게에서는 상태가 별..
산토끼 집토끼 sketch from http://runrabbitrun.ca/1/previous/9.html 흔히 동시에 성취하기 힘든 두 가지를 모두 해냈을 때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았다’고 말한다. 초등학교가 아직 국민학교였던 시절에 학교 사육장 철조망 사이로 배춧잎을 준 것이 살아있는 토끼에 대한 경험의 전부인 나로서는 토끼를 잡는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모른다. 평지의 사육장을 돌아다닐 때 긴 뒷다리가 퍽 거추장스러워 보였던 기억만으로는 실감하기 힘든 일이다. 아마 한 마리를 잡는 것만도 만만찮은 일인가보다. 일과 사랑, 돈과 재미, 진보와 보수 등 한 곳에만 기운을 다 쏟아도 제대로 얻어내기 어렵거나 하나를 성취하기 위한 조건이 다른 하나를 배제하는 것처럼 보일 때, 이런 난국을 기적적으로 타개해나가는..
대학교육 ‘혁신’ 유감 Budi Satria Kwan, 그러니까, 내가 철학과에 가겠다고 말했을 때 아버지가 재떨이를 던지신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문예반 때문에 떨어진 성적을 만회하겠다고 고2 겨울방학에 수학 문제집을 들고 남산도서관에 간 것이 화근이었다. 거기에는 많고 많은 책이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처음 보는 낯선 단어들로 세계를 다시 설명하려는 사람들의 책만 모아놓은 방이 따로 있었던 것이다. 한적하고 나른한 그곳에서 수학문제도, 풀기는 풀었지만, 중간 중간 집어든 이상한 책들에 씌어 있는 이상한 낱말들로 된 답 없는 이상한 문제들은, 아침부터 해질 무렵까지 창가 자리에 나를 붙들어두곤 했었다. 지금도 ‘공부’라는 낱말을 들으면 그 고즈넉한 겨울 저녁의 햇살이 혼곤히 비쳐들어오던 창가 자리를 떠올린다. 나는 아직도 공..